2010년 4월 20일 화요일

프라이머서페이서 - 중도 작업

안녕하세요 리피니쉬 마스텁니다.

이번글은 자동차 보수도장 공정에서 중도에 해당하는 프라이머 서페이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겠습니다
(기본공정인 연마, 탈지, 수세등등은 생략합니다)

 프라이머 서페이서(Primer Surfacer)?
△ 차량 대부분의 소재는 철재는 공기중의 수분이나 산소, 물에 닿으면 부식(녹)이 진행됩니다.
녹이 발생한 부위나 도장한곳에 녹이 발생하면 도막의 부착력이 떨어지고 페인트가 벗겨지게 됩니다.
프라이머 서페이서(이하 프라서페)는 이러한 녹을 방지하는 기능과 부착성을 올리는 기능이 첨가된 제품이 추세입니다.
△ 상도 도장을 위한 밑바탕이 됩니다.
하도는 흠이나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작업이라면 중도는 상도작업이 잘될수 있도록 밑바탕을 다져주는 역할을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상도 작업(컬러, 펄, 메탈릭, 투명)을 잘해도 밑바탕이 부실하면 상도도 부실하게나옵니다.
△ 상도와 하도사이의 부착력을 증진시켜줍니다.
△ 도막을 두껍게하여 완충작용을 합니다.
도막이 너무 단단하면 크랙(깨짐)이 생기고 이는 내칩핑성에 영향을 줍니다. 약간의 탄력있는 프라서페에의해 충격이 다소 완충되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합니다.
△ 메꿈역할
연마자국이나 퍼티의 미세한기공이나 깊은 스크레치를 어느정도 메워줍니다.


이상 뿅!!!

2010년 3월 23일 화요일

퍼티(Putty) - 하도 보수작업편

안녕하세요 리피니쉬입니다.

이번글은 하도작업인 퍼티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원리 및 이해를 돕기 위한 글이므로 가볍게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

퍼티의 종류에는 판금퍼티, 불포화퍼티, 락카퍼티등이 있습니다.

퍼티의 목적은 판금이나 가벼운 사고로 인한 자동차 패널이 골이나 음푹패인 경우, 그 부분을 메꿔주는 역할입니다. 일반적인 페인트로는 도막을 올릴수있는 두께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나 비용, 작업성을 생각했을때 퍼티가 적합합니다.













▲ 퍼티별 용도

퍼티의 필요한 물성
1. 적절한 점성 - 퍼티는 다른 도료에 비해 두껍게 올라가고 수평부위뿐 아니라 수직부위도 작업이 가능해야 하므로 잘 흐르지 않아야 하므로 어느정도의 점성을 가지고 있다, 퍼티도 온도에 따라 점도의 변화가 있기때문에 여름철엔 잘 흐르지 않아야하고, 겨울철엔 바르기 쉽게 잘 펴져야한다.
2. 건조성 - 건조성이 빨라야한다. 일정시간뒤 바로 연마작업이 가능해야한다.
3. 연마성 - 퍼티는 헤라나 퍼티주걱으로 손으로 바르다 보니 표면이 고르지 않을수도 있다. 따라서 연마(샌딩)작업이 이어지기 때문에 부드럽게 잘 갈리면서 면이 곱게 나오면 좋다!

이상 뿅!!

2010년 3월 22일 월요일

VOC(휘발성유기화합물) 관련.

안녕하세요 리피니쉬 마스텁니다.

이번글은 수도권에 종사하시는 기술자분들을 위한 관계 법령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최근의 트렌드는 친환경으로서 자동차 보수도장 업계도 최근 3~4년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2010년 1월 1일부터는 보다 강화된 방안이 적용중이며,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핵심만 설명하겠습니다.

이 법규의 취지는 환경보존과 작업자 건강증진에도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voc 규제를 받는 작업장(서울, 인천-일부제외, 경기도권-일부제외 첨부화일 참고)에서는 사용하고 계신 제품 라벨에 '수도권 관리권역내 사용가능한 제품'이라는 라벨이 붙어있는지만 확인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직까지는 각 도료 제조사마다 그동안 생산해논 재고가 있었기 때문에 2009년 12월 31일 이전 생산된 제품이 사용가능하지만 비수도권에 유통되는 제품을 수도권내 현장에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당장 수도권 사용가능한 제품과 비수도권 사용가능 제품의 가격차이 때문에 앞으로 2012년이면 수도권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될거라는 예상이 있으며, 기존 제품에 비해 약간의 가격상승이 있습니다.

- voc규제가 적용되는 사업장일 경우
1. 사용하는 제품이 도권 관리권역내 사용가능한 제품인지 라벨을 확인할 것.
2. 신너를 사용하는 제품일경우 도료 제조사에서 공급하는 신너(면제신너)만 사용할 것.
3. 면제용제를 사용하는 도료와 하이솔리드형 도료 형태로 공급되니 각 제품의 특성을 이해할 것.
4. 비수도권용 제품을 사용하면 안됌.

- voc규제에 해당 되지 않는 비수도권 사업장
1.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을 써도 됌.
2. 수도권 관리권역내 사용가능한 제품을 사용해도 되지만, 기존 제품과 약간의 가격차이가 있음.
3. 2012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환경부 고시)이므로 미리 적용해서 규제에 따른 혼란을 막을수 있음.

참고 - voc 규제 관련한 화일을 첨부합니다. 읽어보세용

이상 뿅!!


리피니쉬(자동차보수) 도료의 시스템 구성

안녕하세요 리피니쉬 입니다.
이번 글은 리피니쉬(자동차보수 이하 자보) 도료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자보용 도료는 손상된 부분을 보수도장하여 기존의 칠(페인트)과 어울려 기존의 도장(구도막)과  동일하도록 하는것입니다.

자동차 외관의 소재는 크게 2가지 입니다.
하나는 자동차 프레임이나 본넷, 트렁크, 휀다, 도어의 소재인 강판이고,
다른 하나는 앞범퍼, 뒷범퍼, 몰딩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입니다.




















▲ 소재가 철판일 경우







▲ 소재가 플라스틱일 경우(플라스틱은 부식이 일어나지 않기때문에 관련된 도장이 생략된다.)

자보용 도료는 단일페인트로 진행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 도장이라 불리며 위 표를 참고하세요.
여러층의 도료가 올라갈 경우 피도체(도장할 물체)에 가까운 부분부터 하도(언더코드)-중도(미드코트)-상도(탑코트)라 불립니다.

자보용 도료에서는 퍼티가 하도, 프라이머와 서페이서는 중도, 베이스 및 펄,메탈릭 컬러, 투명을 상도로 나눕니다. 각 도료마다 필요한 역할이 있기 때문에 도료의 성질을 이해하는것 또한 중요합니다.

다음글에서 하도-중도-상도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상 뿅!!